[출근길 인터뷰] 감염 불안·거리두기에 우울감…'코로나 블루' 극복법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불안감 느끼는 분들 있으실 겁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불안증은 정상적인 감정이지만 이 때문에 일상에 지장이 있다면 상담이 필요하다고 조언하는데요.<br /><br />최근엔 이런 심리적 불편감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'코로나 블루'라는 신조어도 만들어졌습니다.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권준수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를 만나 '코로나 블루' 극복법에 대해 짚어본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서울대병원에 나가 있는 박진형 기자 나와 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권준수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봅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권준수 /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의 장기화 때문에 여러 가지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특히 코로나블루라는 얘기가 나왔습니다. 이게 어떤 겁니까?<br /><br />[권준수 /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<br /><br />코로나블루라는 공식적인 진단명은 없습니다. 하지만 이제 사회활동이 감소되고 또 인간관계가 줄어들고 이럼으로써 나타나는 2차적인 우울, 불안, 여러 가지 무기력증 이런 걸 총칭하는 거고요. 주로 우울증상과 감염에 대한 불안 이런 게 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크게 불안함과 우울 이것이 혹시 신체적인 증상으로도 발현될 수 있습니까?<br /><br />[권준수 /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<br /><br />물론 신체 증상이 나타나고요. 두통이라든지 시력 감퇴 또 어지럽다든지 이런 게 나타날 수 있고요. 대개 이런 게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반응이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런 신체 반응을 통해서 그러면 내가 코로나블루에 어느 정도 증상이 있다. 혹시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?<br /><br />[권준수 /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<br /><br />말씀드린 대로 코로나블루는 공식적인 진단명이 아니기 때문에 아직은 그런 게 없고요. 주로 우울증상과 불안증상이 대부분입니다. 그런데 우울증상이 한 2주 이상 계속되면 우리가 주요 우울증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. 그런데 그 정도는 아니고 약간 약한 정도 또는 짧은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그런 우울증상, 불안 또 무기력증, 흥미감의 상실 또 좌절감 이런 증상들이 주로 짧은 기간 또는 약한 정도로 지속이 되는 이런 경우가 문제고요. 또 이런 경우로 인해서 본인이 약간 불편함을 느낀다. 그러면 조금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다면 이런 코로나블루 증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습니까?<br /><br />[권준수 /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<br /><br />아무래도 불안이나 우울이라는 것은 정상적인 그런 반응이기 때문에 너무 초조해하거나 과도하게 불안할 필요가 없다. 이게 첫 번째이고요. 두 번째는 정확한 정보를 적절하게 얻어야 합니다. 지금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정말로 불확실한 정보들이 너무나 많이 지금 돌아다니고 있기 때문에 하루 종일 TV를 보고 코로나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든지 또 반복적으로 그런 걸 본다든지 이런 건 별로 좋지 않고요. 적절하게 시청을 하고 정보를 얻고 또 하나는 이제 집에서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운동이라든지 스트레칭 이런 것들이 필요하고요.<br /><br />또 이제 취미활동, 그동안에 못했던 취미활동 이런 걸 집에서 또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생각이 들고 또 하나가 이제 그동안에 소홀했던 여러 가지 가족들 간의 그런 소통 또 친지, 친구 이런 분들하고 이제 또 전화라든지 이메일 이런 걸 통해서 좀 연락도 하고 이런 긍정적인 측면도 또 있을 거니까 그런 걸 통해서 조금 극복할 수 있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끝으로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집에 혼자 계시거나 아니면 가족끼리만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분들한테 마지막 조언을 해 주신다면요?<br /><br />[권준수 /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<br /><br />그동안 우리 사회가 너무 지금 급박하게 돌아가고 속도가 중요한 그런 사회였습니다. 그런데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약간 속도를 조금 줄이고 또 한발짝 떨어져서 볼 수 있는 이런 어떤 긍정적인 측면도 있고요. 또 이제 이런 기회에 자기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그런 기회를 가지고 그렇게 한다면 약간 더 성숙된 삶을 또 앞으로 살아갈 수 있지 않나 이런 긍정적인 측면이 있고 또 하나가 앞으로 이 코로나 사태 때문에 분명히 생활패턴이 바뀔 거라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. 그러면 그 생활 패턴이 바뀌는 것을 미리 좀 대비를 해서 조금 여러 가지로 생각도 하고 또 어떻게 자기생활을 앞으로 할 것인가 이런 생각을 좀 하는 것도 도움이 되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늘 바쁘신데 함께해 주셔서 고맙습니다.<br /><br />[권준수 /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]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금까지 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